블로그 이미지
osojang's
기본적인 주식을 통한 부자되는 방법 공개.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Notice

2020. 4. 19. 20:42 주식/6.주식 종목
메모 종목명 배당수익률 시가총액 현재가 BPS 자본금 유보율 부채비율 ROE
20.04 제이에스코퍼레이션 6.96 95,750 7,180 11,755 1,333 ######## 28.5 5.26

 

 

제이에스코퍼레이션 (194370) 사업보고서 (2019.12) 종목토론실
     
핸드백 제조자개발생산(ODM) 업체. 핸드백 제조, 판매, 수출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매출처로 GUESS CORP, KATE SPADE & COMPANY, MICHAEL KORS, DKNY 등.

최대주주는 홍재성 외(59.91%) Update : 2020.02.24
     
 
▶차트 바로가기

 

     
2019-08-06 2분기 실적 호조에 강세
▷동사는 연결기준 2분기 영업이익 47.59억원을 기록해 전년동기대비 167.12% 증가했다고 공시. 같은 기간 매출액은 674.04억원을 기록해 전년동기대비 38.33% 증가했으나, 순이익은 전년동기대비 7.91%감소한 37.49억원을 기록.

[ Spot Data ]
2019-06-26 52주 신고가-2분기 호실적 전망
2019-06-10 52주 신고가-美/中 무역분쟁 수혜주 분석 모멘텀 지속
2019-05-22 52주 신고가
2019-05-13 52주 신고가-동남아 공장 이전 효과 기대감 지속
2019-05-07 52주 신고가-동남아 공장 이전 효과 기대감
2019-05-03 52주 신고가
2019-05-02 52주 신고가-패션/의류 관련주 상승 속 1분기 호실적 모멘텀 지속


[ Spot Issue ]
2019-08-06 2분기 실적 호조에 강세
2019-07-19 5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에 강세
2019-06-26 2분기 호실적 전망 등에 강세
2019-05-07 동남아 공장 이전 효과 기대감 등에 상승
2019-04-25 1분기 호실적에 강세

 

     
[패션/의류] 의류를 비롯해 신발, 가방, 악세사리 등 패션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군. 내수경기에 가장 큰 영향을 받고 있으며, 주요 유통망인 백화점의 실적과 상관성이 높음. 브랜드 인지도가 매우 중요한 업종.
[테마히스토리]
2019-07-30 日 제품 불매운동 반사이익에 상승(주도주 : TBH글로벌, 코데즈컴바인, 쌍방울, 좋은사람들)
2019-07-05 日 제품 불매 운동 확산 조짐에 상승(주도주 : LF, 신성통상, 한세엠케이)
2019-06-05 저가 매수 유효 분석에 상승(주도주 : 한세실업, 영원무역, 화승인더, 화승엔터프라이즈)
2019-05-23 중국 내 미국산 제품 불매운동 소식 속 하락

[관련종목] LF(093050) 신세계인터내셔날(031430) 신원(009270) 신성통상(005390) 한섬(020000) 휠라홀딩스(081660) 인디에프(014990) F&F(007700) 캠브리지코오롱(004620) TBH글로벌(084870) 코오롱인더(120110) 한세실업(105630) 영원무역(111770) LS네트웍스(000680) BYC(001460) 대현(016090) 코데즈컴바인(047770) 형지엘리트(093240) 에스티오(098660) 쌍방울(102280) 이스트아시아홀딩스(900110) 형지I&C(011080) 좋은사람들(033340) 지엔코(065060) 메타랩스(090370) 원풍물산(008290) 진도(088790) 한세엠케이(069640) SG세계물산(004060) 윌비스(008600) 슈펙스비앤피(058530) 태평양물산(007980) 리노스(039980) 제이에스티나(026040) 삼성물산(028260) 신영와코루(005800) 코웰패션(033290) 제이에스코퍼레이션(194370) 국동(005320) 화승인더(006060) 화승엔터프라이즈(241590) 호전실업(111110) 토박스코리아(215480) 비티원(101140) 남영비비안(002070) 배럴(267790) 패션플랫폼(225590) 그리티(204020) 크리스에프앤씨(110790) 까스텔바작(308100) 에스제이그룹(306040)

 

posted by osojang's
2019. 11. 16. 06:13 전기 자동차

 

 

르노 자동차가 소형 전기차 K-ZE의 시장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그동안 소문으로 나돌았던 소식인데 최근 티에리 볼로레(Thierry Bolloré) 르노 CEO가 공식적으로 확인해주었습니다.

K-ZE는 올 초 상하이 모터쇼를 통해 공개된 중국형 전기차입니다. 플랫폼은 르노-닛산 연합의 CMF-A 플랫폼을 활용했습니다. 인도에서 판매하고 있는 르노 크위드(Kwid)가 쓰고 있는 것이죠.


많은 전문가들이 K-ZE에 주목하는 이유는 전기차의 대중화를 앞당길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중국 판매가가 6만 1,800위안으로 한화 1,020만원에 불과하니까요. 단순히 값만 저렴한 것이 아니라 성능도 기대 이상입니다.


26.8kWh 용량의 리튬이온 배터리와 44마력짜리 모터를 품어 최고속도 104km/h, 1회 충전 후 주행거리 270km(NEDC 기준) 수준의 성능을 냅니다. 또, 급속충전기를 이용해 배터리의 80%를 50분 만에 충전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 나오는 전기차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도심의 이동 수단으로는 무리가 없죠. 게다가 값은 기존 전기차의 1/3에 불과합니다. 휠베이스 2,423mm의 차체에 트렁크 공간도 300리터나 쓸 수 있어 같은 브랜드의 초소형 전기차 트위지보다 훨씬 실용적입니다.

르노는 이를 무기로 전 세계 전기차 시장에서 게임 체인저를 노립니다. 현재는 중국 파트너인 둥펑 자동차와 합작사(eGT New Energy Automotive)를 세워 생산하고 있지만, 앞으로 생산기지와 판매처를 다양한 곳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입니다.


그 가운데는 유럽 진출 계획도 있습니다. 르노의 저가 브랜드인 다치아 브랜드를 통해서 판매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유럽의 안전기준을 만족시키고 소비자들의 눈높이에 맞춰 몇 가지 편의 장비를 추가하기에 대당 판매가는 조금 오를 겁니다. 그렇더라도 1만 1,000유로(약 1,400만원) 정도를 넘진 않을 것이라네요.


이 정도만 되도 상당한 매력입니다. 참고로 르노가 프랑스에서 판매하고 있는 조에(ZOE)의 최저가가 3만 2,000유로(약 4,140만원) 수준이니까요. 차 크기나 성능에서 조에가 K-ZE보다 앞서지만 가격 차이만큼은 아니라는 것이 중론이에요. 저 가격이면 시장에서 수요를 끌어 내기에 충분하다는 것이지요.

 

정말 기대됩니다.

posted by osojang's
2019. 11. 16. 06:10 카테고리 없음

  설치류의 질병으로 사람에게 감염되는 급성 전염병. '페스트'라고도 한다. 사람은 감염된 설치류와 접촉했을 때 감염된다. 잠복기는 3~6일 정도이며 갑자기 발병한다. 증상에 따라 림프절페스트, 폐페스트, 패혈성페스트로 구분된다. 흑사병은 중국과 아시아 내륙에서 1347년 유럽으로 번졌으며, 여러 차례 흑사병이 유행하여 유럽에서만 약 2,500만 명이 사망했다. 최근에는 2019년 5월 몽골에서 마모트(마못)에 의해 감염된 사례와, 2019년 11월 중국 베이징에서 2명의 환자가 흑사병 확진 판정을 받고 격리조치된 바 있다. 

관련주

 

이글벳(044960) -

우정바이오(.215380)

보령제약(003850)

신풍제약(019170)

이외 여러 종목들이 있으나 항상 이러한 종목에 매매시에는 짧게 치고 빠져야 한다.

실제적으로 큰 상관성이 없음에도 상승하는 경우가 많고 대부분 일반인들이 매수포지션이 상당히

위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종목들은 실제적인 백신 개발등과 관련없는 회사들이 많기 때문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posted by osojang's
2019. 7. 2. 18:43 전기 자동차

대구시가 내년 전기차 충전소의 유료화로 가기로 결정했습니다.

신문 기사에 환경부 수준의 173원/kwh 로 측정한다고 하는데,

정작 환경부 요금은 350원/kwh로 인상이 될 예정인데,

과연 어떻게 측정이 될지 궁금해지네요~

 

환경부에 맞춰서 350원대로 인상이 될 것인지.....

 

 

 

 

 

환경부 요금 수준 ‘173.8원/kWh’

장애인 등 신청 통해 50% 감면

 

대구시가 운영하는 전기차 공용충전기 이용요금이 내년부터 유료화된다.

대구시는 지난달 28일 대구시 충전료심의위원회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 충전요금은 환경부가 운용하는 충전료와 동일하게 173.8원/kWh로 확정됐다.

다만 장애인 및 국가유공자, 고엽제후유증환자, 병역명문가(3대가 현역복무 이행) 등은 사전신청을 통해 50%를 감면받을 수 있다.



위원회는 “전기차 관련 민간사업 활성화를 통해 급속히 늘어나는 충전수요에 대응하고, 아울러 공용충전기 운용사업의 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해 유료화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대구에는 현재 전기차 공용충전기 1천398기가 설치·운영되고 있다. 이중 환경부(69기), 한국전력공사(60기)가 운영하는 공용충전기는 kWh당 173.8원의 충전요금을 받고 있다. 민간사업자가 운영하는 266기는 사업자에 따라 kWh당 120~310원을 받는다. 대구시가 직영하는 199기는 올 연말까지만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제주시는 올해부터 유료화했고, 서울시와 광주시는 내년부터 유료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대구시에 따르면 지역에 설치된 공공기관 운영 공용충전기는 매월 평균 4만7천회(88만kWh)를 이용하고 있다. 이중 대구시가 운영하는 충전기의 이용량은 매월 3만9천회(71만kWh)로, 전체 이용량의 80%를 웃돌고 있다. 최운백 대구시 혁신성장국장은 “충전요금 유료화로 대구시 재정투입이 최소화되고, 민간주도의 충전인프라 확충 및 민간 충전사업 활성화를 통해 전기차 이용자들에게도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대구시는 2022년까지 전기차 7만대 보급과 공용충전기 5천기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아울러 충전시간 단축을 위해 최대 200㎾급 급속충전기와 집중충전소(한 장소에 4기 이상 충전기 설치)를 확대해나갈 방침이다.

'전기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차 후기!!  (0) 2020.05.31
르노 1,000만원대 전기차  (1) 2019.11.16
전기차 코나ev 1년 주행기- 작성중  (0) 2019.06.19
대구에 초고속 멀티 전기차 충전소 설치  (0) 2019.06.04
전기차 보조금 /  (0) 2019.05.17
posted by osojang's